사실 이걸 해내는 과정이야 별거 아닐 뿐더러 이미 웹에 많은 정보가 공유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워드프레스에서는 어떻게 도입할 것이냐에 따라 다양한 전략이 있습니다.
이 글은 테마의 PHP를 손델 수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보다 밀착하여 커스터마이즈해본 경험담을 공유합니다.
플러그인설치하기
짜피 기본적인 페북댓글 플러그인의 연동과정은 뻔합니다. 일일히 손으로 해봐야 귀찮기만합니다.
제가 설치한 플러그인은 다음의 것입니다.
[thumbnail src=”http://i.imgur.com/eG1DgQn.png”]
플러그인추가하기로 적당히 활성화시키시면다음과 같은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thumbnail src=”http://i.imgur.com/IhRAgoO.png”]
적당히 넣어주면 플러그인은
<meta property="fb:app_id" content="000000000000000"/> <meta property="fb:admins" content="000000000000000"/>
같은 헤더셋팅과 댓글을 불러와 붙여주는 노가다를 처리해줍니다. 실제 달린 샘플은 이 글의 하단에 붙어있는 페북 댓글을 보시면 됩니다.
이 플러그인의 좋은 점은 퍼센트로 가로를 지정할 수 있게 잘 되어있다는 점입니다.
댓글 갯수 표시하기
글상세에서 제목 옆이나 리스트에서 제목 옆에 댓글의 갯수를 표시하는건 어떻게 해야할까요.
위의 플러그인 fbml을 활성화 시켜두므로 귀찮게 iframe에 의존할 필요 없이 간단히fbml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포스트에서는 url이 고유하므로 별도로 href를 지정할 필요엇이 아래와 같이 간단히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fb:comments-count/>0</fb:comments-count>]
이렇게 해두면 [0] 상태에서 출발해서 페북댓글이 조회되는 대로 갱신해줍니다.
저 같은 경우는 페이스북에서 댓글을 로딩한다는 사실을 명시하기 위해 폰트어썸의 페북아이콘을 표시하다가 갱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fb:comments-count/> <i class=" fa fa-facebook-square " style="color:#d7d0cd"></i> </fb:comments-count>]
마찬가지로 새로고침을 해보시면 이 글의 제목 옆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스트에서도 갯수표시
싱글 포스트일때와 다른 점은 url이 고유하지 않고 루프를 돌고 있을때마다 생성해줘야한다는 점입니다.
the_permalink 함수는 도메인을 생략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도메인을 붙인 코드를 생성해야합니다.
//Loop 중 <h3><?php the_title(); ?> <small style="margin-left:5px">[ <fb:comments-count href="https://www.bsidesoft.com<?php the_permalink(); ?>"/> <i class=" fa fa-facebook-square " style="color:#d7d0cd"></i> </fb:comments-count> ]</small>
이는 상단 메뉴에서 아무 카테고리나 눌러보시면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fbml방식은 편리하죠. 역시. 그러한 방식을 잘 서포트해주고 있는 기본에 충실한 플러그인 덕분에 손쉽게 노가다 없이 구현했습니다.
언제 시간이나면 대쉬보드용 페이스북 댓글 관리자를 만들어보겠습니다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