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깃헙을 윈도우 서버에서 구축해보자!

사내 서버에 보안이 되는 깃서버를 설치하여 소스코드를 관리하기로 맘먹고 솔루션을 찾아봤습니다.

윈도우 + IIS기반에서 작동할 GIT서비스를 찾아보게 되었고 그 결과 bonobo Git Server 라는 오픈소스를 찾게 되었습니다(보노보는 MIT라이센스를 따르고 있습니다)

[notification type=”alert-info” close=”false” ]비사이드는 windows SBS 2008 정품 사용 회사입니다. 이 small business server 솔루션에는 window2008서버를 세대까지 설치할 수 있는 서버 라이센스와 MSSQL2008 서버 라이센스 1대, MSExchange서버 라이센스 1대가 포함된 제품이라 실로 작은 회사에서는 쓸만한 패키지입니다 ^^[/notification]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Screenshot_3.jpg”]
http://bonobogitserver.com/

설치는 총 3단계를 거쳐서 완료시킬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복잡하지는 않지만 딱히 한글로 된 좋은 메뉴얼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음 순서대로 차근차근 진행하시면 설치에 도움이 될 듯하여 제 삽질을 정리해 올립니다.

 

[toggles class=”bonobo”]

[toggle title=”1. 설치에 필요한 기초 프로그램 설치”]

보노보를 설치하기 앞 서 다음의 두 가지가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1. Git for Windows – http://msysgit.github.io/
  2. 닷넷프레임웍 4.5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30653

 

Git for Windows 설치

별 이슈없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되고 옵션들은 잘 모르시면 무조건 기본상태로 가시면 됩니다.

 

닷넷프레임웍 설치

닷넷프레임웍 4.5가 필요하므로 윈도우8, 윈도우서버2010,2012등 닷넷프레임웍4.0이 기본설치되어있는 OS의 경우에도 4.5로 업데이트해야합니다.

2008은 무려 닷넷 2.0이 깔려있기 때문에 무조건 4.5를 깔아야합니다.

 

[notification type=”alert-danger” close=”false” ]닷넷프레임웍까지 설치가 완료되면 리부팅해줍니다. 리부팅하지 않으면 IIS가 새로운 닷넷 프레임웍을 인식하지 않습니다.[/notification]

[/toggle][toggle title=”2. IIS 사이트 생성 및 설정”]

이제 보노보를 운영할 사이트를 설정합니다.

1. 새 사이트를 추가하세요.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00.jpg”]

 

2. 사이트의인증설정에서 익명인증만 활성화합니다.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01.jpg”]

[notification type=”alert-danger” close=”false” ]보다 강력한 인증체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윈도우계정인증이나 SSL을 통한 인증 설정을 알아보고 싶다면 보노보 공식 사이트에서 참조할만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notification]

 

3. 응용프로그램을 조정합니다.

새 사이트가 가리키는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프로그램 풀에서 선택한 뒤 닷넷프레임버전을 4.0으로 고르세요(4.5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02.jpg”]

 

4. bonobo를 설치합니다.

bonobo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로 소스코드를 zip으로 내려받습니다.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03.jpg”]

내려받은 zip파일을 사이트 루트에 풀어주세요. 사이트 루트에 풀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04.jpg”]

 

[/toggle][toggle title=”3. 보노보 기본 설정 및 레포지토리 설정”]

최초 로그인

설정한 웹사이트의 주소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됩니다.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Screenshot_1.jpg”]

[notification type=”alert-danger” close=”false” ]최초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admin / admin 이니 로그인하여 꼭!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notification]

 

레포지토리의 기본위치

설정을 보면 언어나 사이트의 타이틀뿐 아니라 레포지토리의 기본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thumbnail src=”https://www.bsidesoft.com/wp-content/uploads/2014/11/Screenshot_2.jpg”]

기본적인 설정이 끝나면 이제부터 프로젝트별로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계정을 관리하면서 운영할 수 있습니다.

[notification type=”alert-danger” close=”false” ]푸쉬나 풀할 때 각 레포지토리별로 설정한 계정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면 됩니다.[/notification]

[/toggle]
[/toggles]

 

저도 써보면서 장단점을 알아가는 중이라 아직 설치하기 외엔 전달해드릴 정보가 없는 상태이나 이후 고급인증 확장, 후킹확장, 플러그인 확장 등을 연구해보고 추가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