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의 2013년 10월 15일 기사 중 다음의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이 기사가 뭘 말하고 싶은지는 관심없고, 보고된 데이터를 보면 한국 내 브라우저 점유율을 다음과 같이 보고 하고 있습니다.
- IE : 44.97%
- 안드로이드네이티브 : 28.66%
- 네이버앱 내 브라우저 : 9.96%
- 크롬 : 5.85%
- 나머지 합체 : 10.83%
IE
그러자 갑자기 얼마전 봤던 뉴스가 생각 났습니다.
이 기사도 뭘 말하고 싶은지는 관심없고, 거기에 등장하는 한국 내 윈도우 버전별 점유율만 관심 있었습니다. 2013년 8월을 기준으로
- win7 : 66.94%
- winXP : 23.99%
- win8 : 4.22%
- 나머지 합체 : 4.85%
아마도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 설치된 OS만 기준으로 한 통계인거 같습니다. 안그러면 안드로이드 점유율은 훨씬 올라가야하니까요.
하지만 머 상관없고 이제 저 두 가지 통계를 합체해보죠. 일반유저가 브라우저 업데이트를 거의 하지 않는 한국의 특성을 고려하고, 그래도 xp유저들이 (제발)IE 8까지는 업데이트 해주십사하는걸 가정해서 계산해봅니다.
일단 윈도우 OS만 갖고 다시 점유율을 재계산합니다.
- winOS = 7 + 8 + XP = 95.18
- win7 = 66.94 / 95.18 = 70.36%
- winXP = 23.99 / 95.18 = 25.20%
- win8 = 4.22 / 95.18 = 4.43%
이제 재계산된 점유율로 IE를 나눕니다.
- winXP = IE8 = IE * winXP = 44.97% * 25.20% = 11.33%
- win7 = IE9 = IE * win7 = 44.97% * 70.36% = 31.64%
- win8 = IE10 = IE * win8 = 44.97% * 4.43% = 1.99%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브라우저는 역시 안드로이드 점유율을 통해 나눌 수 있습니다. 무려 15일자 기사가 연합뉴스에 있더군요.
여기에 따르면 삼성 60%, 엘지 15%, 애플 14%, 팬택 10%, 기타 1%입니다. 이중 안드로이드만 묶어서 재계산해봅니다.
- 안드로이드 = 삼성 + 엘지 + 팬택 + 기타 = 86
- 삼성 = 60 / 86 = 70.58%
- 엘지 = 15 / 86 = 17.64%
- 팬택 = 10 / 86 = 11.76%
- 기타 = 1 / 86 = 1.17%
마찬가지로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브라우저를 나눠줍니다.
- 삼성 = 28.66% * 70.58% =20.23%
- 엘지 = 28.66% * 17.64% =5.05%
- 팬택 = 28.66% * 11.76% =3.37%
- 기타 = 28.66% * 1.17% =0.33%
합체한 결과
- ie9 : 31.64%
- 삼성 : 20.23%
- ie~8 : 11.33%
- 네이버 : 9.96%
- 크롬 : 5.85%
- 엘지 : 5.05%
- 사파리 : 3.44%
- 팬택 : 3.37%
- ie10 : 1.99%
- 기타 : 7.14%
여러가지 시사점을 얻습니다.
*
우선 현재의 가장 중요한 브라우저는 IE9 입니다. IE9에서 중요하게 안되는!! 특징은..
- 웹소켓, 웹GL은 안된다.
- 웹폰트도 전용규격
- css트랜지션 안됨, 3D 트랜스폼 안됨
그 외에도 여러가지 있습니다….쨌든 따라서 당분간 애니메이션을 pc에서 구현하실 때는 트랜지션으로 구현하면 안됩니다.
**
두번째로 중요한 브라우저는 갤럭시 브라우저입니다. 일단 웹을 만드는 회사나 개발자라면 무조건 갤럭시가 있어야하는 수준입니다.
갤럭시는 s2마저도 아이스크림이상이기 때문에 의외로 고수준의 css를 지원합니다. 이 통계대로라면 진저브레드에서 안되는 css특성이나 프로요의 싱글터치는 신경쓰지 않아도 될 수준입니다.
***
세번째로 중요한 브라우저는 IE 6,7,8 입니다. 일단 고객이 xp를 쓰면 IE 8까지는 업데이트 하라고 해도 되는 사회적인 분위기 이므로 그렇다고 가정해도 IE 8 입니다.
IE 8은 한마디로 html5가 안됩니다. css3가 안됩니다. 그러니까 pc에서 두번째로 중요한 브라우저라는 걸 고려할 때 사이트를 제작하면 IE 8에서 이쁘고 화려하며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작성되어야만 합니다. 반드시!
****
네번째로 중요한 브라우저는 안드로이드용 네이버앱의 인앱브라우저입니다.
이게 설마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브라우저와 특성이 동일할거라 생각하시나요? 전혀 아닙니다. 그들만의 주소창이나 하단 버튼바가 올라오고 사라지는 시스템 때문에 outerWidth, outerHeight 가 전혀 다른 특성으로 움직이고 에이전트 문자열도 다르게 들어옵니다. 그 외에도 숱하게 다른 특징이 있고 앱을 업데이트할 때마다 이 특성도 계속 변하기 때문에 하나의 독립된 브라우저로 간주해야 합니다.
이미 점유율을 보건데 네이버는 인앱브라우저의 상세한 스펙을 브라우저 제조사 수준으로 공개하고 커뮤니티를 지원해야하는 단계입니다.
*****
이제 크롬인데..크롬이 제법 컸습니다만..그래봐야 5%대로 우리가 IE 6를 무시하자(6%시절)고 했을 때보다도 점유율이 아직은 작습니다. 걍 저 6%를 개발자들이라고 생각하면 일반 유저는 안쓴다고 봐야할 지경입니다.
*
다섯번째 이하는 무시하겠습니다. 걍 군소 브라우저들이라고 봐야합니다. 그리고 애플..애플은 통계상으로 보면 아이폰이든 맥북이든 할거 없이 웹서비스를 한국에 런칭하는 입장에서는 통채로 무시해도 되는 수준입니다. 가장 개발 리소스 투입상 우선 순위가 낮다고 봐야겠죠. 하지만 이건 통계를 보면 그렇단 거죠 ^^;
결론
일단 돈안들이고 얻을 수 있는 통계 자료는 역시 뉴스 공표자료입니다.
신빙성이 얼마나 있냐고 물어보면 돈주고 사도 얼마나 믿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조사시점의 가장 최신 자료면 좋겠지만..머 어쩔 수 없고 ^^;
저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납품하는 입장이라 항상 개인적인 편협함에 빠지지 않고 시장을 그대로 봐야하기 때문시롱, 종종 이런 짓을 하곤 합니다.
안그러면 크롬, 맥북, 아이폰에 둘러쌓인 오덕스런 시각만 갖게 되거든요.
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근데 막상 뉴스에 통계를 제공했던 회사의 사이트에서 확인해보면 더욱더 절망적인 결과가 나옵니다 ^^
네이버 앱을 깔아보면 알게된다는 ^^
황명규 답변해줬더니 댓글은 왜지우나..
ㅎ 쓰자마자지운건데 그걸보셨나요? 더읽ㄷㅏ보니해결댐요 ㅎ
명규야.. 이아저씨 누구야? 내이버앱에 웃었다 운점을 기가막히게 찝었너.. 결국 네이버 까는거잖아? ㅋㅋ
오페라가 없어서 그럼 ㅠㅠ 분명 useragent 많이 들어오는데 ㅠㅠ
어쩌다 링크로 봤는데. 아는분의 코멘트도 보이고
분석이 잘못된게 너무 보여서 몇가지만.
우선 통계내는데 사용된 정보로는 OS별 사용자는 한정지을수 있을지언정
IE 버전별 사용은 뽑아낼수가 없는 통계를 가지고 맘대로 -_-; 통계를 내셨어요.
특히
winXP = IE8 = IE * winXP = 44.97% * 25.20% = 11.33%
win7 = IE9 = IE * win7 = 44.97% * 70.36% = 31.64%
win8 = IE10 = IE * win8 = 44.97% * 4.43% = 1.99%
이건 억지죠.
winXP 사용자중 IE 8 사용자가 많긴 합니다. 7도 많고 뭐
win 7 사용자가 IE 9 라구요 -_-; 어찌 그런 짓을.. IE 10 으로 강제 업그레이드는 잊으셨나요. 덕분에 Win 7 사용자의 거의 절반은 IE 10 사용자입니다. 나머지는 9일거 같나요? 음.. 8 사용자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 ㅎ
Win 8 은.. 사실 win 8 과 8.1 을 구분하는게 좋을거 같지만 넘어갈게요. 11은 패스하고.
심지어 생각보다 나머지 사용자의 대부분인Vista 사용자의 대부분은 IE 7을 씁니다..
결론은.. 저 통계만 쓰셨으면 안되고 IE 브라우저별 사용통계를 따로 보셨어야 해요
제일 많이 사용 IE 브라우저는 ie 10 과 ie 8입니다. 지금 아마 거의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국내 사용중인 IE 버전별 순위를 따져보면 IE 8 > IE 10 > IE 7 > IE 9 정도 나오겠네요.
9는 버림받은지 오래됐거든요. 나오자 마자 문제점으로 버림받고 10이 나온데다가 강제 업그레이드… ㅎ
OS 와 Browser 의 상관관계를 맘대로 가정하여 나온 결과가 너무 뜬금없어서 얘기해봅니다..
아참 조금 더하면 IE 10의 문제점도 많은데.. 하나.. IE 10에는 호환성보기 라는 기능이 있어요…
생각보다 많은 이슈가 저것만 키면 해결되더라구요… ㅎ
이거까지 고려하시면 조금은 더 나은 통계 분석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혹 IE 중 IE7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요?
IE는 참 미묘한 문제인거 같아요. 실제로 시장조사를 나가보면 설령 IE의 버전이 높아도 대부분 예외없이 호환성 모드를 켜두고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즉 IE가 버전이 얼마가 되었든 호환성 모드가 되면 IE8과 비슷한 상태가 되어버립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참고로 젤 위에 제가 단 댓글의 링크를 열어보면 통계제공업체에서 제공한 데이터가 더 상세하게 있는데 상단의 환경으로 들어가면 브라우저별 통계가 있습니다. 괜한 분석이었다는…
ㅋㅋ읽고있는데 이해가 안됨 … 우와 개발자들은 역시 대단하네요
통계자료를 보면 개발하는 사람들 맥 빠지겠습니다.
어떻게 우리나라가 IT강국이라고 할 수 있을지 가히 의심이 갑니다.
위키피디아 자료에 따르면 world wide 브라우저 점유율은
Chrome: 40% , IE: 30%(IE10:2%, IE9:15.8%, IE8:10%….), FF:20%, Safari:8%, Opera:1%……
로 나오네요.